프론트엔드(Frontend)는 웹사이트나 앱에서 사용자가 직접 보는 화면과 기능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웹사이트와 쇼핑몰 화면이 프론트 엔드라고 할 수 있으며 프론트엔드 작업은 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면 메뉴가 열리거나, 이미지를 클릭하면 큰 화면으로 보이는 것 등을 의미합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HTML, CSS, JavaScript 같은 언어를 사용해 웹페이지의 디자인과 동작을 구현합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인터넷에서 보는 모든 예쁜 화면과 움직이는 기능들은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만든 것입니다.
예시: 자사 쇼핑몰의 메인화면을 포함한 모든 페이지
온드 미디어는 기업이 직접 소유하고 관리하는 미디어 채널을 의미합니다. 자체 사이트, 블로그, SNS 계정 등이 포함됩니다.
장점
- 저비용 운영: 자체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채널이므로 광고비가 적게 듭니다.
- 자유로운 운영: 기업이 직접 콘텐츠를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어 유연성과 통제력이 높습니다.
- 충성 고객 확보: 꾸준한 콘텐츠 제공을 통해 충성 고객을 확보하고, 고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합니다.
- 데이터 수집: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어,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리합니다.
단점
- 트래픽 유치 어려움: 초기에 트래픽을 유치하기 어렵고, 꾸준한 방문자를 확보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 초기 비용 투입: 인지도 형성과 회원, 팔로워 등을 유치하는 데 초기 마케팅 비용이 필요합니다.
버티컬 채널이란 특정 상품군이나 특정 소비자층에 특화된 쇼핑몰을 뜻합니다. 대표적으로 패션 상품군에 특화된 무신사, 지그재그, 에이블리, 뷰티 상품군에 특화된 올리브영, 화해 등이 있으며, 남성 소비자를 주 타겟으로 하는 하이버와 40대 이상 여성 소비자를 주 타겟으로 하는 퀸잇 등도 버티컬 플랫폼의 예시로 볼 수 있습니다.
버티컬 채널의 특징은 오픈마켓과 비교하여 비교적 높은 수수료와 높은 충성도와 전문성을 지닌 고객층, 그리고 마케팅과 홍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와 커뮤니티 기능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양한 커뮤니티와 매거진 콘텐츠를 운영하는 무신사가 좋은 예시입니다.
특정 매입은 주로 오프라인 유통 업체와 계약할 때 사용되는 매입 형태입니다. 대량의 상품을 직매입한 후 판매된 수량만 매입으로 처리하고, 남은 재고는 반품하는 방식입니다. 유통 업체 입장에서는 재고 처리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상품을 먼저 납품받고 판매 후 매입하는 '판매분 매입'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90년대 부가가치세 제도 도입 이후, 매입 비용을 선지급하고 잔여 물량을 반품하는 특정 매입 형태로 전환되었습니다. 특정 매입은 위탁판매와 달리, 판매 기간 동안 상품의 보관과 출고 관리를 유통 업체가 담당합니다.
예를 들어, 시중가 1만 원짜리 상품을 개당 5천 원에 1000개 매입 후 300개를 판매하고 나머지 물량을 반품할 경우:
- 공급업체의 매출: 5,000원(공급단가) x 300(판매수량) = 150만 원
- 유통 업체의 매출: 10,000원(판매가) x 300(판매수량) = 300만 원
스킴은 어떠한 프로모션이나 이벤트의 총체적인 계획과 구성을 뜻하는 단어로 가격 할인, 쿠폰율, 쿠폰 분담율, 제휴 할인,고객 혜택 등의 전반적인 계획과 실행 방안 등을 의미합니다
예시)
20XX년 상반기 인기상품 BEST100 특가 프로모션 참여 업체 모집
참여 조건: 상반기 월 평균 매출 N원 이상인 업체
진행 조건: N사 최저가 대비 10% 이상 할인가 적용/행사 기간 중 판매 수수료 6% 적용
쿠폰 및 제휴 할인 : 당사 자체발행 쿠폰 5% 파트너사(협력 업체) 부담 쿠폰 5%,XX 카드 결제 시 추가 제휴할인 2% (당사 부담)
노출 구좌: 행사 오픈 후 당일 판매수량에 따라 ㅁㅁ구좌 ㅁㅁ탭 실시간 랭킹 순 노출 반영
ROI는 투자 대비 수익률을 나타내는 지표로, 투자한 금액에 비해 얼마나 많은 이익을 얻었는지를 측정합니다. ROI는 광고캠페인과 소재의 효율을 측정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ROI=순이익/광고비
여기서 순이익은 총 수익에서 투자비용을 뺀 금액입니다
예를들어 새로운 광고 캠페인에 100만 원을 투자했고, 그로 인해 150만 원의 수익을 올렸다면, 순이익은 50만 원이 됩니다. 이 경우, RO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OI=(100만원/50만원)×100=50%
ROI의 활용목적
광고상품의 구매전환율과 효율을 측정하는 ROAS와 달리 ROI는 광고 자체의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기준으로 주로 쓰여집니다
웹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하는 마크업 언어입니다. HTML은 웹 콘텐츠를 구성하고, 브라우저가 이를 해석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형태로 렌더링합니다. 이커머스 MD나 마케터는 HTML을 이해함으로써 웹사이트 콘텐츠 관리, SEO 최적화, 캠페인 관리 더 나은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HTML 문서는 <html>, <head>, <body> 태그로 구성됩니다. <head> 태그 안에는 메타데이터, 스타일시트 링크, 스크립트 등이 포함되고, <body> 태그 안에는 실제 웹페이지 콘텐츠가 들어갑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총체적 경험입니다. 이커머스 사이트에서 UX를 개선하려면 쉬운 네비게이션과 빠른 로딩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표적 사례
쿠팡의 모바일앱은 상품 구매 시 별도의 결제화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슬라이드 버튼을 밀어내는 것 만으로 결제가 가능하여 쾌적한 쇼핑경험을 제공함
CRM은 고객과의 관계를 관리하고 유지하는 전략과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고객 데이터를 활용하여 맞춤형 마케팅을 진행하고 고객이 자사와 상품에 긍정적인 경험과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갖도록 고객 경험을 설계합니다
예시
1.쿠팡은 지난 구매이력을 분석하여 특정 상품의 재구매 시기가 되면 이에 맞춰 알림 메세지를 전송함
2.유튜브 뮤직은 음악 감상 이력을 분석하여 유저가 좋아할 만한 곡을 추천함
3.마켓컬리는 장바구니에 일정 금액 이상을 담아둔 고객 대상으로 쿠폰 코드를 전송하여 구매 전환율을 높임
특정 생산 또는 입고 시점에 같은 조건에서 생산되거나 입고된 제품 그룹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되는 고유 번호입니다 LOT번호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이유는 생산,입고 주기별로 상품을 그룹화 하고 이를 통해 상세한 관리와 트래킹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유통기한이 존재하거나 유통 채널과 방식이 복잡 다양한 경우 LOT 번호를 통해 관리하면 특정 상품군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이를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품번과의 차이점
품번은 특정 상품전반에 부여되는 고유번호로 생산,입고 시점과 관계없이 동일하게 부여되지만 LOT번호는 동일한 상품을 생산,입고 시점별로 나눠 구분 짓기 때문에 품번과 별개의 번호가 생성됩니다
예시
- LOT 번호: 20230601A (2023년 6월 1일 생산된 A 공정의 제품 그룹)
- 품번: ABC123 (특정 모델의 제품)
밀크런은 물류 관리 기법 중 하나로, 하나의 운송 차량이 여러 공급업체나 고객을 순차적으로 방문하여 화물을 수거하거나 배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기법의 이름은 과거 우유 배달원이 여러 농장을 돌아다니며 우유를 수거하던 방식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일종의 공동구매와 비슷한 방식으로 밀크런을 이용하는 경우 개별적인 운송수단이나 택배로 상품을 발송하는 것에 비해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밀크런은 구매업체에서 공급업체에 방문하여 상품을 수거하는 방식이므로 공급업체는 정해진 리드타임내 상품 도착 시켜야하는 부담이 적은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쿠팡의 밀크런이 있으며 쿠팡 밀크런을 이용할 경우 쿠팡측에서 직접 밀크런 트럭을 보내 공급업체의 상품을 수거하고 물류센터로 운송하게 됩니다
캐시(Cache)는 데이터나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이후에 동일한 데이터나 연산이 필요할 때 빠르게 제공하는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캐시는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고 응답 시간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캐시의 유형
유형 | 설명 |
---|---|
브라우저 캐시 | 웹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의 일부(이미지, CSS 파일 등)를 로컬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같은 페이지를 다시 방문할 때 빠르게 로드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애플리케이션 캐시 | 애플리케이션이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나 외부 API 호출을 줄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CDN 캐시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가 웹 콘텐츠를 전 세계 여러 서버에 분산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더 가까운 서버에서 빠르게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합니다. |
프로세서 캐시 |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고속 메모리(L1, L2, L3 캐시)에 저장하여, 연산 속도를 높입니다. |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는 웹 페이지에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웹사이트의 인터랙티브한 요소, 예를 들어 버튼을 클릭했을 때 메뉴가 열리거나, 폼을 제출할 때 데이터를 확인하는 기능 등이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구현됩니다. 쉽게 말해, 자바스크립트는 웹 페이지를 살아 움직이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자바스크립트는 HTML과 CSS와 함께 웹 개발의 3대 핵심 기술 중 하나입니다. HTML은 웹 페이지의 구조를, CSS는 웹 페이지의 스타일을, 자바스크립트는 웹 페이지의 동작을 담당합니다.
HTML, CSS, JavaScript의 특징과 차이
항목 | HTML | CSS | JavaScript |
---|---|---|---|
역할 | 웹 페이지의 구조를 정의 | 웹 페이지의 스타일을 지정 | 웹 페이지의 동작을 제어 |
사용 목적 | 텍스트, 이미지, 링크 등을 배치 | 색상, 글꼴, 레이아웃 등을 설정 | 이벤트 처리, 애니메이션, 동적 콘텐츠 |
언어 유형 | 마크업 언어 | 스타일 시트 언어 | 프로그래밍 언어 |
기능 | 웹 문서의 뼈대를 구축 | 웹 문서의 시각적 표현을 담당 | 사용자 상호작용을 구현 |
예 | <div>, <h1>, <a> 태그 등 | color: red;, font-size: 14px; 등 | document.getElementById("demo") = "Hello World!"; |
주문자의 브랜드로 판매될 제품을 제조하는 방식. 주문자가 설계하고 제조업자가 생산합니다.
- 예시: 애플이 설계한 iPhone을 제조하는 폭스콘 애플이 제품의 디자인과 사양을 정하고, 폭스콘은 애플의 요구에 맞춰 생산을 담당합니다
장점: 제조사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비용 절감과 신속한 생산 가능.
단점: 품질 관리의 어려움과 특정 제조업체에 대한 의존성 증가.
로컬 스토리지(Local Storage)는 웹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에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로컬 스토리지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브라우저를 닫았다 다시 열어도 데이터가 유지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로그인 상태, 장바구니에 담긴 상품 등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로컬 스토리지는 HTML5에서 제공되는 웹 저장소 API의 일부로, 간단한 키-값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접근할 수 있습니다. 저장 용량은 일반적으로 5MB 정도로 제한되어 있지만, 세션 스토리지와 달리 사용자가 데이터를 명시적으로 삭제하기 전까지 유지됩니다. 로컬 스토리지는 서버와의 통신 없이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어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로컬 스토리지와 쿠키의 차이
구분 | 로컬 스토리지 | 쿠키 |
---|---|---|
저장 용량 | 일반적으로 5MB 이상 | 일반적으로 4KB 이하 |
만료 | 명시적으로 삭제할 때까지 유지 | 설정된 만료 날짜에 따라 삭제 |
데이터 접근 | 클라이언트 측에서만 접근 가능 | 클라이언트 및 서버 측에서 접근 가능 |
보안 |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민감한 데이터는 저장하지 않음 | HTTPOnly, Secure 플래그를 통해 보안 강화 가능 |
전송 | 서버로 자동 전송되지 않음 | 매 요청 시 서버로 자동 전송 |
마크업 언어는 텍스트에 태그를 사용하여 문서의 구조와 형식을 정의하는 언어입니다 마크업 언어는 웹 페이지를 만드는 데 널리 사용되며, 텍스트의 의미와 외형을 구분하여 표현할 수 있게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마크업 언어는 HTML입니다
마크업 언어와 프로그래밍 언어의 차이
마크업 언어는 주로 웹 페이지의 콘텐츠와 레이아웃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고, 프로그래밍 언어는 웹 페이지의 동적인 기능과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구분 | 마크업 언어 | 프로그래밍 언어 |
---|---|---|
정의 |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하고 서식을 지정하는 언어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리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언어 |
용도 |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 서식 지정, 데이터 마크업 | 애플리케이션 개발, 데이터 처리, 제어 흐름 구현 |
예 | HTML, XML, Markdown | JavaScript, Python, Java, C++ |
기능 | 콘텐츠의 구조와 표시 형식을 정의 | 논리적인 연산, 데이터 처리, 제어 흐름 구현 |
실행 | 웹 브라우저나 마크업 파서에 의해 해석됨 |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됨 |
쿠키(Cookie)는 웹사이트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사용자의 선호 설정이나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쿠키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그인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장바구니에 담긴 상품을 기억하는 기능이 쿠키를 통해 구현됩니다.
쿠키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웹사이트의 기능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쿠키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되며, 이후 동일한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해당 정보를 다시 불러와 사용자의 이전 설정이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쿠키는 보통 텍스트 파일 형태로 저장되며, 만료 시간, 도메인, 경로 등 다양한 속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쿠키는 보안 설정에 따라 HTTP 전송 시에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시
- 많은 쇼핑몰은 쿠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로그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장바구니에 담긴 상품을 기억합니다
- 쇼핑몰에 방문한 고객의 검색기록과 클릭한 상품 이전 구매내역 등을 쿠키로 저장하여 맞춤화된 상품 추천과 큐레이션을 제공합니다
쿠키수집과 개인정보 보호
사용자의 동의 없이 쿠키를 수집하거나, 쿠키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을 추적하는 것은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많은 국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쿠키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럽연합의 GDPR(일반 데이터 보호 규정)은 웹사이트가 쿠키를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명시적인 동의를 받도록 요구합니다.
클라이언트(Client)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을 말합니.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나 모바일 앱이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고, 서버에서 처리된 결과를 받아와 화면에 표시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직접 상호 작용하는 부분으로,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로그인 정보나 검색어 등을 서버에 전달합니다. 서버는 이러한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반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쉽게 말해,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서버와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시: 자사 쇼핑몰의 웹 브라우저와 모바일 앱은 모두 클라이언트로서 서버에 상품 정보를 요청하고 받아옵니다.
리타게팅 광고란 웹사이트를 방문했거나 특정 행동(예: 제품 보기, 장바구니에 상품 추가)을 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다시 광고를 노출하는 마케팅 기법을 의미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떠난 후에도 관심을 유지시키고 재방문을 유도하여 최종적으로 구매로 이어지게 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구글 디스플레이 네트워크(GDN),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에서의 DA광고 등이 있으며 최근 개인정보 보호와 서드파티 쿠키 제공 이슈로 리타게팅 광고의 비중은 점점 줄어들어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제조업체가 제품을 설계하고 생산하여 주문자의 브랜드로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 예시: 샤오미가 디자인한 스마트폰을 윙텍이 생산하는 경우. 윙텍이 스마트폰의 디자인과 개발을 맡고, 샤오미는 자신의 브랜드로 판매합니다.
OEM과 달리 주문자는 설계나 디자인 생산 등에 개입하지 않고 제조자가 자체적으로 생산한 완제품에 자체 브랜드를 부착하여 판매만 합니다 흔히 택갈이라고도 불립니다
장점: 비용 절감과 신속한 제품 출시 가능.
단점: 상품차별화 와 품질 관리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