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줄요약
💡 유튜브 쇼핑은 매우 매력적이지만 단기간에 게임 체인저가 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입니다
🚀 하지만 콘텐츠 커머스로서 브랜드에게는 매력적인 서브 채널이 될 수 있습니다.
✨ 특히 신규 브랜드와 상품의 홍보와 판매에 높은 활용도를 보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유튜브가 유튜브 쇼핑 기능을 카페24와 함께 전세계에서 최초로 한국에 선보였습니다. 이에 더해, 인앱 결제 기능 도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소식도 들려오고 있는데요. 현재 유튜브 쇼핑은 크리에이터가 소개하는 상품을 구매하려면 외부 쇼핑 페이지로 이동해야 하지만, 인앱 결제가 실행되면 유튜브 앱 내에서 바로 결제할 수 있게 됩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이탈이 줄어드는 만큼 구매전환율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구요
카페24, 유튜브 인앱결제 출시 언제?…"실적 극대화 주목"
관련기사
현재 우리나라 이커머스 시장은 쿠팡과 네이버 쇼핑이 양분하고 있습니다. 쿠팡은 빠른 배송 속도와 상품 데이터베이스(DB)의 방대함에서 강점을 보이며, 네이버 쇼핑은 가격 비교 기능과 리뷰 시스템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알쉬테톡(알리,쉬인,테무,틱톡)으로 대표되는 C커가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구요
별도의 회원가입없이 다양한 결제수단으로 즉각적인 결제가 가능한 카페24의 유튜브쇼핑 페이지
현재 카페24가 제공하는 유튜브 쇼핑은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구조입니다. 소비자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다양한 결제 수단을 통해 크리에이터가 판매하는 상품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기서 인앱 결제가 지원된다면, 별도의 외부 웹페이지로 이동할 필요 없이 유튜브 내에서 바로 상품 주문과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쇼핑 과정이 간소화되며, 외부 페이지로의 이탈이 줄어들어 구매 전환율이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유튜브 쇼핑이 성공적으로 자리잡고 게임체인저가 되기 위해 몇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존재합니다
1.회원을 확보할 수 없는 구조
유튜브 쇼핑은 자사몰과 달리 자체적인 회원을 확보할 수 없습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의 경우, '스토어찜'과 '소식받기' 기능을 통해 단골 고객을 확보할 수 있지만, 유튜브는 본질적으로 콘텐츠 플랫폼이기 때문에 '스토어'만을 위한 회원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유튜브 쇼핑은 구매 이력이나 고객 데이터를 통한 CRM 을 활용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즉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메일 마케팅이나 알림 메시지를 통해 재구매를 유도하는 등의 개인화,맞춤화된 마케팅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2.과연 콘텐츠 제작에 투입되는 비용과 수고만큼 구매전환이 이뤄질 것인가?
또한 유튜브 쇼핑은 콘텐츠를 기반으로 상품을 소개하고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보통 콘텐츠 제작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죠 게다가 대부분의 콘텐츠는 유통기한이 존재합니다. 아무리 좋은 콘텐츠라 하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회수와 관심도가 떨어지게 마련이니까요. 따라서 유튜브 쇼핑의 필수적인 과제는 꾸준히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는 점이며, 이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콘텐츠 제작에 투자한 만큼 구매 전환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가가 큰 과제로 남게 됩니다.
3.크로스 쇼퍼들을 막을 수 있을까?
또 다른 문제는 가격비교 후 최저가로 구매하는 크로스 쇼퍼입니다. 특히 관여도가 높거나 가격 인지가 잘 되어있는 품목일수록 크로스 쇼퍼들을 막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말하자면 크리에이터가 공들여서 콘텐츠를 제작하더라도 소비자들은 그 상품의 최저가를 찾아 다른 플랫폼에서 구매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죠.
이렇게 되면 시간과 비용을 들여 남 좋은 일만 하게되는 것이므로 효율이 크게 저하되게 됩니다 따라서 유튜브 쇼핑이 활성화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 중 하나는 크로스쇼 퍼들을 얼마나 방지할 수 있느냐인데 이 경우 유튜브쇼핑에서 판매할 수 있는 품목의 선택지는 상당히 좁아지게 됩니다 결국 가격 비교 사이트에서 서비스되지 않는 상품이거나 크리에이터에게 매우 강렬하고 높은 충성도를 지닌 구독자들을 지니고 있지 않은 이상 크로스쇼핑을 막는 것은 어려울 가능성이 높으니까요
특히 우리나라 이커머스는 매우 독보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바로 '네이버 쇼핑'의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커뮤니티등을 통해 빠르게 핫딜과 최저가 소식을 공유하는 성향을 지니고 있죠 이 부분은 확실히 유튜브 쇼핑이 자리잡는데 있어 큰 장벽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한다면 아마도 유튜브 쇼핑이 단기간내에 기존의 쿠팡,네이버 등의 거대 플랫폼들을 뛰어넘을 정도의 파급력을 발휘하는 게임체인저가 되는 것은 아마도 가능성이 낮아보입니다 하지만 유튜브 쇼핑은 분명히 매우 매력적인 선택지이며 확실한 강점을 지니고 있는 것도 사실이죠
이미지 출처 뉴스1 https://www.news1.kr/it-science/internet-platform/5338476
1.전세계에서 가장 거대하고 활성화된 콘텐츠 플랫폼
말할 것도 없이 유튜브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유저를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콘텐츠 커머스 관점에서 유튜브보다 더 매력적인 선택지는 없다시피 하죠. 즉 콘텐츠와 상품이 잘 맞아 떨어지고 거기에 알고리즘의 간택까지 더해진다면 대대적으로 콘텐츠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도의 광고비 없이도 폭발적인 구매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은 유튜브가 지닌 분명한 메리트입니다
2.국내법과 규제로부터 한층 자유로운 유튜브
유튜브는 글로벌 플랫폼이기 때문에, 국내 규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 쇼핑라이브에서는 건강기능식품 판매 시 사전 심의가 필요하지만, 유튜브는 그에 비해 규제가 느슨합니다. 물론, 규제 완화는 양날의 검일 수 있지만, 국내 플랫폼에 비해 유튜브가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점은 커머스 전략에 있어 큰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미지출처 유튜브 신쌤 https://www.youtube.com/watch?v=LAaky2LdUAk
3.가장 쉽게 해외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수단
유튜브는 글로벌 플랫폼인 만큼, 콘텐츠를 통해 해외 시장에도 손쉽게 진출할 수 있습니다. K-POP이나 K드라마처럼 댓글란에 외국인들의 코멘트가 즐비한 콘텐츠들을 보면 알 수 있듯, 유튜브 쇼핑을 잘 활용한다면 손쉽게 해외 소비자들에게 브랜드와 상품을 홍보하고 해외 시장을 개척할 수 있습니다
특히 AI를 활용한 번역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다양한 외국어 자막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삽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콘텐츠를 전세계적인 범위로 확산시킬 수 있다는 것은 매우 매력적인 강점입니다 또한 유튜브의 인앱결제가 지원될 경우 손쉽게 해외 소비자들의 주문과 결제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도 유튜브쇼핑이 지닌 최대 강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콘텐츠 커머스의 가능성을 보여준 틱톡샵
유튜브가 커머스 기능을 점점 고도화하는 이유 중 하나는 틱톡이 먼저 도입한 틱톡샵이 이미 성과를 내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틱톡샵은 2021년에 론칭되었고,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큰 성공을 거뒀습니다. 총 상품 거래량(GMV) 기준으로, 틱톡샵은 2022년에 약 44억 달러 매출을 기록했으며, 지난해에는 163억 달러로 급성장했습니다. 또한, 올해 7월에는 미국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eMarketer의 Insider Intelligence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약 3,330만 명의 미국 구매자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물론, 틱톡과 유튜브는 콘텐츠와 플랫폼 사용자의 성격이 다릅니다. 유튜브 숏츠가 틱톡과 겹치지 않는 것처럼, 유튜브 쇼핑도 틱톡과는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Z세대를 중심으로 틱톡샵과 같은 콘텐츠 커머스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단기간에 판도를 완전히 뒤바꾸지는 못하더라도, 점차적으로 이커머스 트렌드와 소비자 쇼핑 방식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점입니다.
결론적으로 유튜브 쇼핑이 단기간 내에 기존의 전통적인 이커머스 플랫폼을 완전히 대체할 정도의 게임체인저가 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콘텐츠 커머스 플랫폼으로서 확실한 장점들을 지니고 있으며, 브랜드 입장에서는 매우 매력적인 서브 채널로 활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지금까지 꾸준히 판매된 브랜드나 품목보다는, 새롭게 시장에 진입하는 브랜드와 상품의 홍보 및 판매에 있어 더욱 높은 활용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용어설명
인앱 결제 (In-app Payment)
앱 내에서 결제 기능을 제공하여, 별도의 웹사이트나 외부로 이동하지 않고도 앱 안에서 바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방식.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 시스템으로, 고객의 구매 이력, 취향, 행동을 분석해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하는 방식.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둠.
크로스 쇼퍼 (Cross Shopper)
한 플랫폼에서 상품을 보고 구매하지 않고, 가격 비교 후 다른 플랫폼에서 더 저렴하게 구매하는 소비자.
총 상품 거래량 (GMV, Gross Merchandise Volume)
전자상거래에서 일정 기간 동안 플랫폼에서 거래된 모든 상품의 총 판매 금액을 의미. GMV는 플랫폼의 거래 규모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
Z세대 (Generation Z)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로, 디지털 환경에서 자라난 세대를 지칭함. 이들은 특히 소셜 미디어와 모바일에 익숙한 소비층을 형성하고 있음.
3줄요약
💡 유튜브 쇼핑은 매우 매력적이지만 단기간에 게임 체인저가 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입니다
🚀 하지만 콘텐츠 커머스로서 브랜드에게는 매력적인 서브 채널이 될 수 있습니다.
✨ 특히 신규 브랜드와 상품의 홍보와 판매에 높은 활용도를 보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유튜브가 유튜브 쇼핑 기능을 카페24와 함께 전세계에서 최초로 한국에 선보였습니다. 이에 더해, 인앱 결제 기능 도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소식도 들려오고 있는데요. 현재 유튜브 쇼핑은 크리에이터가 소개하는 상품을 구매하려면 외부 쇼핑 페이지로 이동해야 하지만, 인앱 결제가 실행되면 유튜브 앱 내에서 바로 결제할 수 있게 됩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이탈이 줄어드는 만큼 구매전환율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구요
카페24, 유튜브 인앱결제 출시 언제?…"실적 극대화 주목"
관련기사
현재 우리나라 이커머스 시장은 쿠팡과 네이버 쇼핑이 양분하고 있습니다. 쿠팡은 빠른 배송 속도와 상품 데이터베이스(DB)의 방대함에서 강점을 보이며, 네이버 쇼핑은 가격 비교 기능과 리뷰 시스템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알쉬테톡(알리,쉬인,테무,틱톡)으로 대표되는 C커가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구요
별도의 회원가입없이 다양한 결제수단으로 즉각적인 결제가 가능한 카페24의 유튜브쇼핑 페이지
현재 카페24가 제공하는 유튜브 쇼핑은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구조입니다. 소비자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다양한 결제 수단을 통해 크리에이터가 판매하는 상품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기서 인앱 결제가 지원된다면, 별도의 외부 웹페이지로 이동할 필요 없이 유튜브 내에서 바로 상품 주문과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쇼핑 과정이 간소화되며, 외부 페이지로의 이탈이 줄어들어 구매 전환율이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유튜브 쇼핑이 성공적으로 자리잡고 게임체인저가 되기 위해 몇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존재합니다
1.회원을 확보할 수 없는 구조
유튜브 쇼핑은 자사몰과 달리 자체적인 회원을 확보할 수 없습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의 경우, '스토어찜'과 '소식받기' 기능을 통해 단골 고객을 확보할 수 있지만, 유튜브는 본질적으로 콘텐츠 플랫폼이기 때문에 '스토어'만을 위한 회원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유튜브 쇼핑은 구매 이력이나 고객 데이터를 통한 CRM 을 활용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즉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메일 마케팅이나 알림 메시지를 통해 재구매를 유도하는 등의 개인화,맞춤화된 마케팅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2.과연 콘텐츠 제작에 투입되는 비용과 수고만큼 구매전환이 이뤄질 것인가?
또한 유튜브 쇼핑은 콘텐츠를 기반으로 상품을 소개하고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보통 콘텐츠 제작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죠 게다가 대부분의 콘텐츠는 유통기한이 존재합니다. 아무리 좋은 콘텐츠라 하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회수와 관심도가 떨어지게 마련이니까요. 따라서 유튜브 쇼핑의 필수적인 과제는 꾸준히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는 점이며, 이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콘텐츠 제작에 투자한 만큼 구매 전환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가가 큰 과제로 남게 됩니다.
3.크로스 쇼퍼들을 막을 수 있을까?
또 다른 문제는 가격비교 후 최저가로 구매하는 크로스 쇼퍼입니다. 특히 관여도가 높거나 가격 인지가 잘 되어있는 품목일수록 크로스 쇼퍼들을 막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말하자면 크리에이터가 공들여서 콘텐츠를 제작하더라도 소비자들은 그 상품의 최저가를 찾아 다른 플랫폼에서 구매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죠.
이렇게 되면 시간과 비용을 들여 남 좋은 일만 하게되는 것이므로 효율이 크게 저하되게 됩니다 따라서 유튜브 쇼핑이 활성화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 중 하나는 크로스쇼 퍼들을 얼마나 방지할 수 있느냐인데 이 경우 유튜브쇼핑에서 판매할 수 있는 품목의 선택지는 상당히 좁아지게 됩니다 결국 가격 비교 사이트에서 서비스되지 않는 상품이거나 크리에이터에게 매우 강렬하고 높은 충성도를 지닌 구독자들을 지니고 있지 않은 이상 크로스쇼핑을 막는 것은 어려울 가능성이 높으니까요
특히 우리나라 이커머스는 매우 독보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바로 '네이버 쇼핑'의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커뮤니티등을 통해 빠르게 핫딜과 최저가 소식을 공유하는 성향을 지니고 있죠 이 부분은 확실히 유튜브 쇼핑이 자리잡는데 있어 큰 장벽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한다면 아마도 유튜브 쇼핑이 단기간내에 기존의 쿠팡,네이버 등의 거대 플랫폼들을 뛰어넘을 정도의 파급력을 발휘하는 게임체인저가 되는 것은 아마도 가능성이 낮아보입니다 하지만 유튜브 쇼핑은 분명히 매우 매력적인 선택지이며 확실한 강점을 지니고 있는 것도 사실이죠
이미지 출처 뉴스1 https://www.news1.kr/it-science/internet-platform/5338476
1.전세계에서 가장 거대하고 활성화된 콘텐츠 플랫폼
말할 것도 없이 유튜브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유저를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콘텐츠 커머스 관점에서 유튜브보다 더 매력적인 선택지는 없다시피 하죠. 즉 콘텐츠와 상품이 잘 맞아 떨어지고 거기에 알고리즘의 간택까지 더해진다면 대대적으로 콘텐츠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도의 광고비 없이도 폭발적인 구매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은 유튜브가 지닌 분명한 메리트입니다
2.국내법과 규제로부터 한층 자유로운 유튜브
유튜브는 글로벌 플랫폼이기 때문에, 국내 규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 쇼핑라이브에서는 건강기능식품 판매 시 사전 심의가 필요하지만, 유튜브는 그에 비해 규제가 느슨합니다. 물론, 규제 완화는 양날의 검일 수 있지만, 국내 플랫폼에 비해 유튜브가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점은 커머스 전략에 있어 큰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미지출처 유튜브 신쌤 https://www.youtube.com/watch?v=LAaky2LdUAk
3.가장 쉽게 해외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수단
유튜브는 글로벌 플랫폼인 만큼, 콘텐츠를 통해 해외 시장에도 손쉽게 진출할 수 있습니다. K-POP이나 K드라마처럼 댓글란에 외국인들의 코멘트가 즐비한 콘텐츠들을 보면 알 수 있듯, 유튜브 쇼핑을 잘 활용한다면 손쉽게 해외 소비자들에게 브랜드와 상품을 홍보하고 해외 시장을 개척할 수 있습니다
특히 AI를 활용한 번역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다양한 외국어 자막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삽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콘텐츠를 전세계적인 범위로 확산시킬 수 있다는 것은 매우 매력적인 강점입니다 또한 유튜브의 인앱결제가 지원될 경우 손쉽게 해외 소비자들의 주문과 결제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도 유튜브쇼핑이 지닌 최대 강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콘텐츠 커머스의 가능성을 보여준 틱톡샵
유튜브가 커머스 기능을 점점 고도화하는 이유 중 하나는 틱톡이 먼저 도입한 틱톡샵이 이미 성과를 내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틱톡샵은 2021년에 론칭되었고,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큰 성공을 거뒀습니다. 총 상품 거래량(GMV) 기준으로, 틱톡샵은 2022년에 약 44억 달러 매출을 기록했으며, 지난해에는 163억 달러로 급성장했습니다. 또한, 올해 7월에는 미국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eMarketer의 Insider Intelligence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약 3,330만 명의 미국 구매자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물론, 틱톡과 유튜브는 콘텐츠와 플랫폼 사용자의 성격이 다릅니다. 유튜브 숏츠가 틱톡과 겹치지 않는 것처럼, 유튜브 쇼핑도 틱톡과는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Z세대를 중심으로 틱톡샵과 같은 콘텐츠 커머스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단기간에 판도를 완전히 뒤바꾸지는 못하더라도, 점차적으로 이커머스 트렌드와 소비자 쇼핑 방식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점입니다.
결론적으로 유튜브 쇼핑이 단기간 내에 기존의 전통적인 이커머스 플랫폼을 완전히 대체할 정도의 게임체인저가 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콘텐츠 커머스 플랫폼으로서 확실한 장점들을 지니고 있으며, 브랜드 입장에서는 매우 매력적인 서브 채널로 활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지금까지 꾸준히 판매된 브랜드나 품목보다는, 새롭게 시장에 진입하는 브랜드와 상품의 홍보 및 판매에 있어 더욱 높은 활용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용어설명
인앱 결제 (In-app Payment)
앱 내에서 결제 기능을 제공하여, 별도의 웹사이트나 외부로 이동하지 않고도 앱 안에서 바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방식.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 시스템으로, 고객의 구매 이력, 취향, 행동을 분석해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하는 방식.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둠.
크로스 쇼퍼 (Cross Shopper)
한 플랫폼에서 상품을 보고 구매하지 않고, 가격 비교 후 다른 플랫폼에서 더 저렴하게 구매하는 소비자.
총 상품 거래량 (GMV, Gross Merchandise Volume)
전자상거래에서 일정 기간 동안 플랫폼에서 거래된 모든 상품의 총 판매 금액을 의미. GMV는 플랫폼의 거래 규모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
Z세대 (Generation Z)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로, 디지털 환경에서 자라난 세대를 지칭함. 이들은 특히 소셜 미디어와 모바일에 익숙한 소비층을 형성하고 있음.